Ⅰ. 과학중점학교 목적
과학‧수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및 학생의 학교 선택권 확대를 통한 맞춤형 전문 교육 기회 제공
과학‧수학 교과 관련 융·복합적인 교육과정 및 체험활동 강화로 이공계 진로 유도
과학·수학 전문교육, 체험·탐구활동, 진로체험 활동 등을 통해 창의성과 융합적 마인드를 두루 갖춘 미래형 과학인재 육성
Ⅱ. 과학중점학교 소개 및 운영
1. 과학중점학교 소개
대상 · 2025년 재지정,
· 2031년 2월까지 운영
운영방침 · 과학, 수학에 특화된 교육과정 운영하여 21세기 융합형 인재 양성
· 경기도에서 64개교가 지정되어 수업, 체험, 동아리, 진로 활동 등을 위해 예산이 지원됨
실험/ 탐구 인프라 구축 · 과학 수학 탐구 활동을 위한 과학교과교실 4개, 수학과 학습실 구비
자율적인 과학· 수학동아리 운영 · 활발한 동아리 활동, 각 동아리 별 소식지 및 학술지 발간
· 각종 전시회/ 전람회 부스 운영
· 지역사회 재능 기부 활동
이공계 진학을 위한 맞춤형 진로 탐색 프로그램 · 1학년 융합형 체험 프로그램
· 2학년 과제연구 활동
융합형 인재 양성 체험활동 · 대학진학 정보 설명회
·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 및 진로 특강
배움 중심형 수업 혁신 · 1인 1탐구 프로젝트 활동
· 생각하는 수업· 발표 수업
2. 과학중점 교육과정 운영 계획
전체 (1학년-3학년)

3년간 과학, 수학 교과에서 총 교과 이수학점의 45% 이상 이수

- 수학 교과 4과목 이상, 과학 교과 7과목 이상 이수 필요

- 학생 연구활동(1학년 STEM 탐구활동, 2학년 과학과제연구, 3학년 융합과학 탐구)

- 과학나눔 등 학생 봉사 프로그램 참여

1학년(공통)

과학(과학탐구실험 포함) 10단위, 수학 8단위 이상 편성

과학 및 수학 관련 체험활동 30시간 이상 이수(과학중점과정 희망자)

2학년(과학중점 교육과정)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역학과 에너지, 물질과 에너지, 세포와 물질대사, 지구 시스템 과학 운영

과학과제연구 과목 필수 이수

3학년(과학중점 교육과정)

전자기와 양자, 화학 반응의 세계, 생물의 유전, 행성 우주과학 운영

융합과학 탐구, 인공지능 기초, 기하, 미적분, 인공지능 수학, 수학과제 탐구 등 전문과목 운영